1. 사안의 개요
(1)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직접생산확인증명 제출
(1) 조달청 납품한 제품의 직접생산여부 조사과정에서 이 사건 납품과 관련하여 완제품을 구매하여 납품하였음을 인정하는 내용의 자필확인서 작성
(2) 직접생산 확인증명 취소 + 조달청의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 제한처분
(3) 불복하는 행정소송 제기 – 패소
2. 자필확인서 작성 경위 및 증거력
(1) 원고 주장 - 이 사건 자필확인서가, 조달청 조사원이 추후 자료를 제출하면 자료를 검토해서 잘 처리하겠다며 불러주는 대로 기재한 것으로 그 기재가 사실에 반한다고 주장
(2) 서울행정법원 판결요지 - 원고는 직접생산여부 조사과정에서 이 사건 납품과 관련하여 완제품을 구매하여 납품하였음을 인정하는 내용의 이 사건 자필확인서를 작성하였고, 그 확인서가 작성자의 의사에 반하여 강제로 작성되었거나 또는 그 내용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증명자료로 삼기 어렵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확인서의 증거가치를 쉽게 부정할 수 없다(대법원 2017. 7. 11. 선고 2015두2864 판결 참조).
(3) 원고의 주장 외에 이를 뒷받침할 증거가 없으며, 단지 그와 같은 이유만으로 원고가 중대한 위반을 인정하는 내용의 확인서를 사실에 반하여 작성하였다고 상정하기도 어렵다.
3. 직접 생산 위반으로 국가의 손해발생 없음 주장
(1) 원고는 직접생산의무 위반행위로 인하여 국가에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그 액수 또한 불명하다고 주장한다.
(2) 그러나 원고가 이 사건 물품을 직접생산하지 아니하고 수입하여 그대로 납품한 이상 직접생산비용과 구매가격 차액 상당의 손해가 발생하였음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
(3) 원고의 직접생산의무위반은 피고가 이 사건에서 처분사유로 추가한 것과 같이, 국가계약법 제27조 제1항 제1호의 ‘계약을 이행할 때에 부실·조잡 또는 부당하게 하거나 부정한 행위를 한 경우’ 및 구 국가계약법(2021. 1. 5. 법률 제1781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제1항 제8호 및 구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76조 제1항 제2호 가목의 ‘계약의 주요조건을 위반한 자’에 해당하기도 한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4. 가혹한 제재처분에 대한 재량권 남용 주장
(1) 판단기준 - 제재적 행정처분이 사회통념상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였거나 남용하였는지 여부는 처분사유로 된 위반행위의 내용과 당해 처분행위에 의하여 달성하려는 공익목적 및 이에 따르는 제반 사정 등을 객관적으로 심리하여 공익 침해의 정도와 그 처분으로 인하여 개인이 입게 될 불이익을 비교․형량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이 경우 제재적 행정처분의 기준이 부령의 형식으로 규정되어 있더라도 그것은 행정청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을 규정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대외적으로 국민이나 법원을 기속하는 효력이 없고, 당해 처분의 적법 여부는 위 처분기준만이 아니라 관계 법령의 규정 내용과 취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므로, 위 처분기준에 적합하다 하여 곧바로 당해 처분이 적법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위 처분기준이 그 자체로 헌법 또는 법률에 합치되지 아니하거나 위 처분기준에 따른 제재적 행정처분이 그 처분사유가 된 위반행위의 내용 및 관계 법령의 규정 내용과 취지에 비추어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없는 한 섣불리 그 처분이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였거나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대법원 2007. 9. 20. 선고 2007두6946 판결 등 참조).
(2) 구체적 판단 - 원고가 주장하는 여러 사정들을 고려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이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였거나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피고가 이 사건 계약을 체결하면서 ‘직접생산’을 계약조건으로 정한 것은 제조능력 부적격 및 부당납품 업체를 차단하여 기술력이 있는 국내 제조업체를 보호ㆍ지원하고, 조달물자의 품질 제고 및 건실한 조달환경을 조성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사건과 같이 직접생산조건을 위반하여 다른 회사의 완제품을 가져와 마치 직접생산기준을 충족한 제품인 것처럼 수요기관에 납품하는 행위는 위와 같은 목적과 계약질서를 적극적으로 훼손하는 행위에 해당하여 그 위법성을 결코 가볍게 평가할 수 없으며, 단지 이 사건 처분이 이 사건 납품 행위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이루어졌다는 사정만으로 원고에게 이 사건 처분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리라는 신뢰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도 없다.
첨부: 서울행정법원 2024. 6. 20. 선고 2023구합70015 판결
[질문 또는 상담신청 입력하기]